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커
- Cent
- ubuntu
- Maria
- docker-compose
- docker
- haproxy.cfg
- https
- centos7
- 방화벽
- SSL
- db
- YouTube
- Tomcat
- yum
- mysql
- 8443
- youtube-dl
- MariaDB
- HLS
- letsencrypt
- iptables
- CentOS
- phpmyadmin
- vsftpd
- firewall
- nginx
- mount
- 인증서
- haproxy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8)
개발자의뇌
서버에 http timeout 이 자주 발생하기에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 curl로 응답속도를 체크하는 방법을 찾아 기록함. vi curl-format.txt total:%{time_total} lookup:%{time_namelookup} connect:%{time_connect} appconnect:%{time_appconnect} pretransfer:%{time_pretransfer} redirect:%{time_redirect} starttransfer:%{time_starttransfer} curl 실행 curl -w "@curl-format.txt" -o /dev/null -s "google.com" curl-format.txt 를 조정하면 원하는 형태의 로그 포맷을 지정할 수 있다. curl..
무선공유기 dhcp를 off 시키면 wifi 를 고정IP로 설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무선공유기가 1개만 있으면 한번 고정ip 셋팅 후 계속 사용하면 되는데 무선공유기를 여러개 사용하고 있으면 매번 공유기 대역에 맞는 IP로 바꿔주어야 한다. 그래서 윈도우10 cmd 에서 wifi 고정IP를 변경하는 명령을 찾아보았다. AP_TEST_1 은 무선 공유기의 ssid 이름이고 Wi-Fi 는 무선어댑터 이름이다. netsh wlan connect name="AP_TEST_1" netsh -c int ip set address "Wi-Fi" static 192.168.111.251 255.255.255.0 192.168.111.1 위 코드를 실행시키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실행한 이후에 입력해야 한다. 그래..
급하게 ftp 서버를 올릴 필요가 있을 경우 리눅스에서는 대부분 vsftpd를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기능과 성능이 엄청 좋은 반면에 기본 설정이 은근히 까다롭다. 특히 리눅스에서 사용자 설정 및 virtual user 설정 등이 처음 접하기엔 까다롭다. 그리고 vsftpd를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쉽게 셋팅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docker에서 잘 만든 이미지를 주워다가 간단한 셋팅으로 손쉽게 ftp 서버를 구축해 본다. 테스트 환경 - CentOS7 - docker v19.03.12 # 쉘 스크립트 작성 # FTP_USER, FTP_PASS, PASV_ADDRESS 는 자신의 환경에 맞게 변경할 것 vi ftp_run.sh #!/bin/bash docker pull fauria/vsftpd mkdir -p..
CentOS : v7 Tomcat : v8.5 Haproxy : v2.2 상황설명 Haproxy를 사용하여 tomcat https 로 접속한다. Haproxy 설정 # 아래 listen 부분 추가 vi /etc/haproxy/haproxy.cfg listen tomcat_https bind *:8443 mode tcp server tomcat01 1.2.3.4:8443 check port 8443 Tomcat 8.5 설정 # 사설 인증서 생성, 파일경로 /usr/local/tomcat8.5/key.keystore keytool -genkey -alias tomcat -keysize 2048 -keyalg RSA -keystore /usr/local/tomcat8.5/key.keystore -dname "..
마이바티스 sql mapper에서 procedure를 호출하기 위해 구글링하여 나온 아래 코드를 넣어 실행하였다. { call sp_test_procedure( #{p1}, #{p2,jdbcType=VARCHAR}, #{p3}, #{p4,jdbcType=VARCHAR}, #{p5,jdbcType=VARCHAR} ) } 하지만 서버에서는 call 문법이 틀렸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당시 마이바티스 실행 환경은 jdk8, tomcat8.5, mybatis-3.4.6.jar, mariadb-java-client-2.2.3.jar 이렇게 되어 있었다. 얼마 더 삽질하다가 구글링을 해보니 mysql-connector 를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하여 기존 db들은 mariadb-client를 계속 사용하고 call ..
# 간단하게 서버 자원을 측정하여 정의한 api 서버에 json 형태로 전달 # Centos7 버전에서 동작 확인 완료 https://github.com/mfsoftworks/Server-Monitoring-Script yum install -y epel-release yum install -y https://centos7.iuscommunity.org/ius-release.rpm yum install -y gcc python36u python36u-libs python36u-devel python36u-pip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mfsoftworks/Server-Monitoring-Script/master/monitor.py" pip3 install ..
# db의 일정 데이터만 덮어쓰고 싶을 때 # 데이터가 없으면 insert 하고 있으면 update 한다. # 데이터만 백업하여 덮어쓰는 경우 사용 # 대량의 DB 데이터를 원격으로 업데이트 해야 하는 경우 사용 ex) mysqldump -uroot -p --skip-add-drop-table --no-create-info --skip-add-locks --replace mydbname table1 table2 > mydb.sql

yum install -y java-1.8.0-openjdk-devel.x86_64 tomcat-native mkdir /svc cd /svc wget http://apache.tt.co.kr/tomcat/tomcat-8/v8.5.47/bin/apache-tomcat-8.5.47.tar.gz tar -xzf apache-tomcat-8.5.47.tar.gz mv apache-tomcat-8.5.47 tomcat8 vi /usr/lib/systemd/system/tomcat.service # Systemd unit file for tomcat [Unit] Description=Apache Tomcat Web Application Container After=syslog.target network.targe..

참조 : https://findstar.pe.kr/2018/08/14/fix-haproxy-reload-fail/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rsyslog 사용 및 서비스 무중단 처리에 대한 방법 참조 :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24445064 systemctl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잘 정리됨 참조 : https://github.com/haproxy/haproxy/blob/master/contrib/systemd/haproxy.service.in haproxy systemctl 등록 스크립트 CentOS7 에서 yum 으로 haproxy 설치할 때 버전이 1.5x 버전이 설치된다. 그래서 다른 버전을 설치하려면 소스 컴파일을 ..

# lvm 볼륨을 일반 마운트 하면 오류 발생 mount /dev/sdb2 /mnt mount: unknown filesystem type 'LVM2_member' # lvm2 설치 yum install lvm2 # apt-get install lvm2 # dm-mod 활성화 modprobe dm-mod # lvm 볼륨 찾기 vgscan root@jin-desktop:~/sj_img# vgscan Reading volume groups from cache. Found volume group "vg_idnmhp01" using metadata type lvm2 # 볼륨 활성화 vgchange -ay vg_idnmhp01 # fdisk 로 디스크 확인 fdisk -l # 마운트하기 mount /dev/map..